
워럿버핏이 항상 어떤 자료보다 먼저 읽는다는 하워드 막스의 새로운 메모가 나왔습니다. 제목은 'The Rewind : Ditto'인데요. 전체적인 내용이 주식투자에 대해 반복되는 중요한 주제에 대한 것이라 이렇게 제목을 붙인 듯합니다. 아래에서 하워드 막스 메모의 주요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고, 원문을 볼 수 있는 링크를 첨부했습니다. 당연하지만 요약내용이 원문의 내용을 정확히 표현할 수 없으므로 관심있는 분들은 원문을 한번 시간 내어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근본적인 투자위험
▣ 세상에 절대적으로 좋거나 나쁜 자산은 없음

하워드막스는 투자 위험의 대부분이 투자 대상 회사, 기관, 증권에서 발생하지 않으며 투자자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말합니다. 선도 기업의 주식이 영원히 성장할 수 없으며, 채권은 영원히 안전자산이지 않다는 것인데요. 관련해서 아래 2가지 예시를 들었습니다.
- 1960대 후반 미국 은행들은 'nifty fifty'라고 불리는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50개 기업에 투자를 집중했습니다. 1970년대 초에 이 회사들의 투자자는 약 90%의 투자금을 잃었습니다.
- 1978년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시작하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당시 하이일드 채권은 '정크 본드'라고 해서 리스크가 매우 크다고 간주되었는데요. 이 때 채권지수에 1달러를 투자한 사람은 오늘날 23달러 이상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한번도 적자를 보지 않았습니다.
▣ 가장 위험한 것은 위험이 없다는 믿음
워런 버핏의 말 중에 '다른 사람들이 투자를 좋아할 때 조심해야 하며, 투자를 미워할 때 공격적으로 변해야 한다'는 것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시장과 경기가 좋아질 때 투자위험이 줄어든다고 생각하며, 반대 상황에서는 투자위험이 커진다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인 시나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험관리의 업사이클]
- 경제성장이 느리거나 마이너스이고 주식시장이 약할 때 대부분 사람들은 돈을 잃을까 걱정하고 투자기회를 놓칠 위험을 무시합니다. 이 상황에선 반대론자들이 극소수입니다.
- 경제는 약간 개선 징후를 보이고, 기업 이익이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조만간, 경제성장이 눈에 띄게 좋아지고 기업은 놀라운 수익을 얻습니다.
- 유가증권의 가격은 상승하기 시작하며, 일반 투자자들은 경제가 실제로 개선된다고 깨닫고 투자 자신감이 상승합니다.
- 일반 투자자들은 본인이 더 부유하고 똑똑하다고 생각하며, 이전에 실패했던 경험을 잊고 앞날을 추론합니다.
- 회의론은 줄어들고, 낙관주의가 판을 칩니다. 투자를 방관했던 사람들은 소외감을 느끼다가 점점 투자로 빨려 들어갑니다.
- 사람들은 돈을 잃는 것을 덜 걱정하고 기회를 잃는 것을 더 크게 걱정합니다.
- 위험 회피는 증발하고 사람들은 더 많이 주식을 투자하기 시작합니다. 손실이 어떻게 발생할지 걱정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 금융기관은 더 많은 자금을 제공하며, 투자자들은 더 많은 레버리지(대출)을 사용합니다.
- 레버리지 투자자들은 더 많이 빌려서 더 많이 투자하면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사례들을 만듭니다. 사람들은 이를 모방합니다.
- 주식시장은 가능한 수준에서 최대한 좋아지고, 마지막 회의론자는 항복하면서 마지막 상투를 잡습니다.
[위험관리의 다운사이클]
- 마지막 잠재 구매자(호구)가 주식을 구매하면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사람은 남지 않습니다. 선견지명이 있는 투자자들은 조정이 시작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 기업실적은 사람들의 높아진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이에 따라 주식가격은 하락합니다.
- 첫 번째 가격하락은 투자자들에게 위험허용을 다시 재고하게 하며, 주식의 적정가격을 고민하게 만듭니다.
- 부정적인 경제뉴스가 속출하면서 투자에 대한 관심은 감소합니다. 주식을 보유하는 것은 어리석다고 느끼기 시작합니다.
- 사람들의 투자위험범위가 감소하고 위험회피가 상승합니다. 사람들은 기회를 잃는 것보다 돈을 잃는 것을 걱정합니다.
- 금융기관은 자금을 빌려주지 않으며, 주가는 최저가를 찍습니다.
위험 주기에 대처하기
▣ 사람의 심리가 반영되는 주가의 흐름
위에서 얘기한 예시처럼 사람들은 주식시장이 좋아질 때 극단적으로 긍정적, 반대 상황에서 부정적으로 투자심리를 바꿔갑니다. 이것은 주식 가격을 확실히 과대 혹은 과소 평가하게 하는 기회를 만듭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이클이 주가를 올리면 기쁜 마음으로 매수하고, 가격이 내리면 공포에 매도합니다.
과거 '매수 후 장기보유'는 시장이 쉬지 않고 상승할 때 좋은 결과를 거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투자방식이 거의 사라졌고 시장과 정보유통의 발전으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피하기 위해 자주 매매합니다. 이러한 매매는 대부분 위와 같은 사이클 기반으로 잘못된 결과를 낳습니다.
성공적인 반대론자가 되려면 위와 반대로 투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 투자자들은 위와 같은 위험관리 주기에 대항하지 않습니다.
▣ 성공적인 반대론자가 되는 방법
성공적인 반대론자가 되어서 투자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아래와 같은 일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매우 간단하지만 정말 수행하기 어려운 조건입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일을 보고, 그들의 행동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이해합니다.
- 기업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강한 감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 대부분 사람들이 주식을 팔때 사고, 반대 상황에서 주식을 삽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한동안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감당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잘못된 모습을 보일 수 있는 각오가 필요합니다. 당신의 행동이 바로 명백하게 옳다는 것을 보일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오르던 주식은 더 오래 오르고, 내리던 주식은 더 오래 많이 내립니다.
정리
하워드막스의 메모에는 위에서 정리한 내용 이외에 기존에 하워드막스가 작성했던 메모들을 통해 올바르게 위험관리를 했던 투자사례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하워드막스의 원문으로 확인하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The Rewind - Ditto
Opens in a new window Opens an external site Opens an external site in a new window
www.oaktreecapital.com
이런 이론은 이해하는 것은 쉬우나, 투자에 실제 적용하는 것은 정말 어렵습니다. 지금이 하워드막스가 말하는 투자적격의 시기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쉽지 않은데요. 작년 10월 경에 하워드막스는 이제 투자를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는 의견을 기사로 냈던 적이 있습니다. 돌이켜보면 작년 10월은 2021년 말부터 시작된 하락장의 최저점이었습니다. 지금은 어떤 상황인지에 대해서는 각자의 판단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분명, 작년 10월보다 시장에 대한 긍정론이 커진 상황이긴 합니다만, 개인적으론 아직 주식시장에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글을 보시는 분들도 각자의 판단으로 투자방향을 설정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